1. <죽은 시인의 사회> 줄거리
매우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웰튼 고등학교에 영어교사로 존 키팅 선생이 부임합니다.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동아리를 만든 키팅은 학생들이 엄격한 교칙을 벗어나 각자가 인격체로서 스스로 생각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가르칩니다.
한편 성격 좋고 성적도 좋은 닐 페리는 보수적인 아버지의 교육관 속에서 지내다가 키팅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고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그는 동아리 활동보다 학교 공부에 집중할 것을 강요하는 아버지 몰래 연극부에 입단하여
한여름밤의 꿈의 퍽 역을 맡게 됩니다. 공연 전날 이 사실을 알게 된 닐의 아버지는 닐에게 당장 연극을 그만두라고 말합니다. 닐은 연극을 너무나도 하고 싶었지만 아버지에게는 어떤 말도 하지 못하고 키팅 선생님에게 상담을 하러 갑니다. 닐은 연극이 지금껏 해본 적이 없는 정말 내가 하고 싶은 것이라고 말하지만 아버지는 자신이 의사가 되길 바란다고 체념하는 듯한 말을 합니다. 키팅 선생은 자신에게 얘기한 것처럼 아버지와 얘기를 나눠보고 연극에 대한 열정을 보여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내길 응원해 줍니다.
그러나 닐은 아버지와 자신의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지 않고 몰래 연극을 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리고 선생님에게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은 것으로 얘기를 합니다. 키팅 선생은 이 사실을 눈치채고 있었지만 자신이 더 이상 관여할 수 없는 문제였기 때문에 지켜보기로 합니다. 닐의 공연 날 오지 않을 것 같았던 닐의 아버지가 오게 되고 닐은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 연기합니다. 공연이 끝나고 닐은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지만 아버지는 심하게 꾸짖으며 다음 날 유년 사관학교에 강제 전학을 시키겠다는 얘기를 듣게 됩니다. 닐은 완고한 아버지의 태도에 모든 것을 포기하고 그날 밤 아버지 서재에 있던 권총으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닐의 아버지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고 학교에 책임을 전가 시킵니다. 학교의 교장은 이 사건을 조용히 빨리 처리하고 싶었습니다. 동아리 부원 중 한 명인 리처드 카메론이 닐이 죽은 시인의 사회 부원이었다는 것과 기팅 선생님이 닐에게 연극을 해볼 것을 추천했다고 얘기합니다. 교장은 키팅 선생을 희생양으로 이 사건의 책임을 전가합니다.
교장은 관련 부원들을 부모 동반으로 불러 상담을 진행합니다. 교장은 키팅 선생이 이 사건에 모든 책임이 있음을 증언하도록 강요하고 그렇게 하지 않을 시 퇴학 처분을 할 것이라며 협박합니다. 찰리 달튼만 퇴학을 선택하고 나머지 부원들은 키팅 선생을 해고를 인정하는 서류에 서명을 하게 됩니다.
영문학 수업은 키팅 선생의 부재를 대신하여 교장이 맡게 되고 수업은 비평 이론에 치우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키팅 선생은 두고 온 물건이 있어 교실로 오게 되었는데 토드 앤더슨이 교장의 강요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해고 서류에 서명을 했다고 고백합니다. 이에 교장은 조용하지 않으면 퇴학 처리를 하겠다고 말하고 부원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키팅 선생을 향해 마지막 인사를 하게 됩니다.
2. <죽은 시인의 사회>에 대한 평가
학교를 배경으로 한 성장 영화 장르 중에 대표적인 명작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피터 위어 감독의 서정적이고 깊이 있는 연출, 톰 슐만의 뛰어난 각본, 로빈 윌리엄스와 그 외 배우진들의 훌륭한 연기가 높게 평가받았습니다.
1989년 개봉 당시 전세계 박스오피스 5위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합니다. 이 영화 하면 바로 로빈 윌리엄스가 떠오를 정도로 그의 대표작이 되었습니다.
미국의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인 교육 체계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있는데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에도 적용되는 사실이라 한국 사람들에게도 많은 공감을 얻은 작품입니다. 키팅 선생으로 상징되는 이상적인 선생님과 교육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사회 시사적인 메시지인 바람직한 교육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영화입니다. 또한 교육의 중요 주체 중 하나인 부모의 역할에 대한 비판도 담겨 있습니다. 닐이 비극적인 마지막 선택을 하는 것에는 부모의 비뚤어진 욕망과 교육관이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 자식을 독립된 인격체가 아닌 자신의 욕망을 투영하는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다주는지 잘 보여줍니다.
이 영화가 세상에 나온 지 꽤 긴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인생 영화로 뽑히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