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생은 실전이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by Monup 2023. 2. 23.
반응형

출처 - 네이버 영화

 

 

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줄거리

미국 텍사스 주에 살고 있는 주인공 르웰린 모스는 베트남전 참전 경력의 베테랑 저격수 출신입니다. 르웰린 모스는 어느 날 사막 한가운데서 사냥 중이었는데 사냥감을 뒤따르다 우연히 총격전이 벌어진 곳에 도착하게 됩니다. 사건 현장 주변에는 여러 명이 죽어있었고, 차 안에서 총에 맞아 죽어가던 한 남자가 있었는데 르웰린 모스를 보고는 물을 달라고 부탁합니다. 르웰린 모스는 트렁크에서 많은 양의 마약을 발견하게 되고 자신과 관계없는 이 사건에 엮이고 싶지 않아 자리를 떠나고자 합니다. 그러는 와중에 2백만 달러가 들어있는 돈 가방을 발견하게 되어 돈 가방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르웰린 모스가 지내는 집은 트레일러 주택으로 평소 그는 돈이 넉넉하지 않은 삶을 살아왔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발견한 돈 가방이 뜻하지 않게 자신에게 찾아온 행운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날 밤 르웰린 모스는 자신에게 물을 달라며 죽어가던 남자의 모습이 떠오르고 죽어가는 생명을 무시한 사실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게 됩니다. 그는 편하게 잠들 수 없어 물통을 가지고 다시 총격전이 있었던 사건 현장으로 가게 됩니다. 르웰린 모스는 자동차 주변을 살피던 중 때마침 그곳에 도착한 갱단에게 발각되어 쫓기는 신세가 됩니다. 르웰린 모스는 갱단으로부터 간신히 도망치게 되지만 그들은 남아있던 르웰린 모스의 차량 번호판을 조회해 추적합니다. 갱단은 르웰린 모스를 빨리 잡기 위해 안톤 쉬거를 고용해서 뒤쫓게 합니다.

이후 사막에 있는 총격전 현장을 발견한 보안관 에드 톰 벨이 이 사건에 개입하게 되면서 이야기의 전개는 혼돈과 폭력의 결말로 치닫게 됩니다.

 

 

2. 이 영화 제목에 관한 이야기

이 작품의 제목은 아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의 첫 구절 '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에서 빌려온 것입니다. 직역을 한다면 노인이 살아갈만한 나라가 아니다입니다. 

여기서의 의미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노인이란 오랜 경험과 지혜를 가진 현명한 존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세상이 이러한 노인이 예측한 대로 모든 것이 진행된다면 그런 사회에서 노인들은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현실의 세상은 예측 가능한 형태로 진행되는 일들이 없습니다. 뜻하지 않은 일이 발생해 인생이 바뀌고, 누군가 선한 의도로 행동한 일이 상대방에겐 고통을 줄 수도 있습니다. 시시때때로 이유와 목적을 알 수 없는 범죄가 발생하기도 하고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이 매일 일어나는 것이 현실 세계입니다. 이러한 세상과 삶의 부조리한 의미를 담은 제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목이 뜻하는 의미를 알게 된다면 영화 속에 등장하는 혼돈의 화신인 살인마 안톤 쉬거의 존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안톤 쉬거는 영화 내에서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초인적인 존재로 느껴지기까지 합니다. 이러한 재앙적 인물을 통해 세상에 살아가는 그 어느 누구도 혼돈이 만연한 현실 속에서 완전한 안전지대에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더욱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 늙은 보안관인 에드 톰 벨입니다. 그는 영화 내에서 가장 양심적이며 이성적으로 현명한 판단을 가졌지만 어떠한 문제 해결도 해내지 못합니다. 

 

 

3. 영화의 배경 설명

1970년대 미국은 베트남전과 오일 쇼크로 인한 사회 문제, 경제 문제가 나쁜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1960년대와 비교를 한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연쇄살인 사건이 갑자기 증가하게 됩니다. 이 작품의 배경이 1980년대인데 당시의 미국 내 살인 범죄율은 10만 명당 10.2건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살인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영화가 시작할 때 '예전에는 보안관들이 총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시기가 있었다.'면서 보안관인 에드 톰 벨이 독백 형식의 내레이션을 합니다. 조금은 더 평화로웠던 과거의 세상을 기억하던 에드 톰 벨은 한 소녀를 살해한 범죄자를 체포했던 경험을 말하며 그러한 범죄자의 반성 없는 태도와 잔혹성에 한탄을 합니다. 이러한 인물의 모습을 통해 간접적으로 당시 미국의 혼란스러웠던 사회 배경을 엿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0